2단계: 리눅스 서버에서 스크립트 실행
다운로드 받은 스크립트 파일을 진단 대상 리눅스 서버로 옮기세요 (FTP, SCP 등 이용).
서버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로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: chmod +x scan_script.sh
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JSON 파일로 저장합니다: ./scan_script.sh > vulnerability_report.json
(스크립트 이름이나 결과 파일 이름은 실제와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하세요)
실행이 완료되면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이 생성됩니다.
3단계: 웹사이트에 결과 파일 업로드
다시 이 웹사이트로 돌아와서 '진단 결과 파일 업로드' 섹션을 찾으세요.
생성된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을 '파일 선택' 버튼을 눌러 업로드하거나,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.
4단계: 진단 결과 확인
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대시보드에 취약점 진단 결과(스캔 정보, 통계, 상세 목록)가 자동으로 표시됩니다.
테이블에서 각 항목을 확인하고, '세부정보' 버튼을 눌러 자세한 내용(세부내용, 권고 조치 등)을 볼 수 있습니다.
상단 오른쪽에 있는 '엑셀 다운로드' 또는 'PDF 다운로드' 버튼을 이용해 보고서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2단계: 유닉스 서버에서 스크립트 실행
다운로드 받은 스크립트 파일을 진단 대상 리눅스 서버로 옮기세요 (FTP, SCP 등 이용).
서버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로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: chmod +x scan_script.sh
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JSON 파일로 저장합니다: ./scan_script.sh > vulnerability_report.json
(스크립트 이름이나 결과 파일 이름은 실제와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하세요)
실행이 완료되면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이 생성됩니다.
3단계: 웹사이트에 결과 파일 업로드
다시 이 웹사이트로 돌아와서 '진단 결과 파일 업로드' 섹션을 찾으세요.
생성된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을 '파일 선택' 버튼을 눌러 업로드하거나,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.
4단계: 진단 결과 확인
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대시보드에 취약점 진단 결과(스캔 정보, 통계, 상세 목록)가 자동으로 표시됩니다.
테이블에서 각 항목을 확인하고, '세부정보' 버튼을 눌러 자세한 내용(세부내용, 권고 조치 등)을 볼 수 있습니다.
상단 오른쪽에 있는 '엑셀 다운로드' 또는 'PDF 다운로드' 버튼을 이용해 보고서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2단계: 진단 도구 실행 및 결과 파일 생성 (Windows)
다운로드 받은 scan_tool.exe 파일을 윈도우 컴퓨터에서 실행하세요.
이 도구를 통해 진단 대상 리눅스 서버의 IP 주소, 접속 계정 정보 등을 입력하여 서버에 대한 보안 취약점 진단을 수행합니다.
도구 실행이 완료되면, 진단 결과가 윈도우 컴퓨터 내의 특정 경로(예: 도구 실행 폴더 또는 문서 폴더)에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로 자동 저장됩니다.
(도구의 사용법이나 결과 파일 저장 경로는 실제 도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도구 사용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)
3단계: 웹사이트에 결과 파일 업로드 (Windows)
이제 다시 이 웹사이트로 돌아와서 '진단 결과 파일 업로드' 섹션을 찾으세요.
윈도우 컴퓨터에서 2단계를 통해 생성된 vulnerability_report.json 파일을 '파일 선택' 버튼을 눌러 선택하거나, 해당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다 놓아 업로드합니다.
4단계: 진단 결과 확인 (웹사이트)
파일 업로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, 자동으로 대시보드에 취약점 진단 결과(스캔 정보, 통계 요약, 상세 목록 등)가 표시될 것입니다.
표 형식으로 제공되는 각 항목을 확인하시고, 필요시 '세부정보' 버튼을 눌러 자세한 내용(취약점 내용, 권고 조치 방법 등)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화면 상단 오른쪽에 있는 '엑셀 다운로드' 또는 'PDF 다운로드' 버튼을 이용하여 전체 보고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